Home ▶ 게시판 ▶ 소식란
소식란

제목장애인 의무고용률은 왜 제자리인가?2009-01-28
작성자관리자
첨부파일1
첨부파일2
첨부파일3
첨부파일4
첨부파일5
장애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애초 장애인구 비율에 따라 산정됐던 '장애인 의무고용제도'의 정책 대상은 전혀 증가하지 않고 있다. 1991년부터 현재까지 19년째 아무런 변화없는 장애인의무고용제도의 개선을 촉구하기 위해 장애인계가 최근 법 개정 운동을 벌이고 있다.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의 장애인의무고용률은 제도가 처음 도입된 1991년부터 지난해까지 계속 2%를 유지해오다 올해부터 3%로 확대됐지만, 민간부문은 1993년 이후 현재까지 2%를 유지해오고 있는 것이다.

현재 장애인계에서는 의무고용률을 민간부문 3%, 공공부문 6%까지 확대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 장애인 운동단체들은 장애인 생존권 투쟁을 벌이면서 '장애인의무고용률 확대'를 3대요구안에 포함시켜 강력히 주장한 바 있다.

장애인계가 의무고용률 확대를 주장하는 근거는 최근 장애범주가 확대되고, 장애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데 있다. 장애인구 확대에 상응하는 장애인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2006년 등록 장애인의 비율은 4.18%로 1990년 0.57%에 비해 7배이상 증가했고, 장애인 출현율도 90년대 2%였던 것이 최근 6%정도로 급증했다. 이는 의무고용률 확대가 시급한 과제임을 증명하는 수치다.

하지만 정부가 지난해 추진한 장애인고용촉진법 개정안에는 '중증장애인 더블카운트 제도 도입', '장애정도.고용기간에 따른 장애인 고용장려금 차등 지급'등의 내용만이 포함돼 있을 뿐 '장애인 의무고용률 확대'는 빠졌다. 이렇기